♣ 무선제본 : 제책을 전문으로하는 제본소나 복사점에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제본 방법으로 제본 기계를 이용, 본드를 녹여서 짧은 시간에 다량의 제본을 하는 방법입니다, (일명 떡 제본이라고도 한다.)
무선제본은 실로 밖음질한 그런 선이 없어서 무선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무선제본기계는 본드를 전기열로 녹이는 시간이 약 40분에서 1시간 정도 소요가 되므로 소량을 제본 하기엔 불편함이 따른다.
♣ 양장제본 : 양장제본은 종이를 여러 장 함께 반으로 접은 다음 실로 밖음질을 하고, 그렇게 같은 방법으로 여러 묶음으로 만든 다음 바깥 부분에 본드로 풀칠을 하고 다시 거즈 종류를 붙인 다음, 다시 거즈위에 본드 풀칠을 하고 그 위에 원색 인쇄를 마친 표지를 두껍게 합지를 하여 제본하는 방법으로 제본 방법이 어렵고 단가도 비싸다.
♣ 하드카바 : 주로 논문(석사, 박사과정)의 졸업 논문으로 많이 하는 제본 방법입니다.
내지는 보통 마스터 인쇄 및 디지털 복사기로 출력을 하고 하드카바는 동판을 만들어 금박 또는 은박으로 표지의 제목등을 찍어서 제본을 합니다. 하드 카바의 색상은 해당 학교에 이미 규정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 주로 곤색이나 검정이며, 글씨도 금박이나 은박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위 논문 하드커버는 검정커버에 금박을 찍은것인데 보기에는 은박처럼 보입니다.
♣ 중철제본 : 책의 두께가 두껍지 않을때 제본 방법으로 인쇄나 복사시 중철제본을 염두에 두고 4의 배수로 페이지를 만들어 인쇄 및 복사를 하여 펼친상태에서 중철 제본용 스텦플러 로(보통 스텦플러 보다 길이가 길다) 가운데를 찍어서 접는 제본 방법.
위 책자는 표지 포함 A4. 32 Page를 공급용지 A3로 소책자 인쇄를 하여 가운데 스텦플러로 2개를 찍어서 반으로 접으면 아래와 같은 A4책자가 됩니다. 만약 페이지가 4의 배수가 되지않으면 백지 페이지를 삽입해 주면 됩니다.
♣ 스프링제본 : 스프링 제본용 기계로 펀칭을 하여 책의 앞,뒤에 두꺼운 비닐 카바를 넣고 링을 끼우는 제본 방법, 스프링 종류에 따라 크리스탈 링, 프라스틱 링, 투링(탁상용 달력 처럼 두 줄로 된 와이어 스프링)으로 나뉜다.
▼ 크리스탈 링:
▼ 프라스틱 링: 내용물의 교환 첨가가 용이하며 프라스틱 링을 재활용 할 수가 있습니다.
▼ 와이어링(투링): 탁상용 달력이나 제안서등 비교적 두께가 얇은 문서를 제본할 때 사용한다.
♣ 바인더 제본 : 회사의 규정집등 내용이 자주 변경되는 자료를 교환하기에 좋은 제본 방법으로 문구점에서 바인더를 구입하실때 3공, 2공 또는 안쪽의 부속이 원링 또는 사다리를 사용할지 등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인쇄 후가공
인쇄 후가공이란 뜻은 인쇄소에서 인쇄를 마친후 용도에 따라
세분화 되어있는 후 가공업체에서 하는 일입니다.
예를 들면, 제본을 전문으로 하는 제본소, 금박을 전문으로 하는 곳,
영수증등 일부를 띁어내기 편하게 미싱을 하는 곳,
책표지 등의 라미네이팅(코팅)을 전문으로 하는 곳, 스프링 제본을 전문으로 하는 곳,
상장등을 접기 좋게 하는 오시 전문점 등이 있으면 요즈음 복사 출력점에는 위 후가공을 대부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