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보조댐을 가로 지르는 월령교를 지나
좌측으로 조금 가다 보면 산 기슭에
안동댐의 건설로 물에 잠기게 되는 수몰지역의 민속문화재를
한 곳에 모아 보존하기 위해 조성된 민속촌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1976년 약 3만 3,000㎡에 조선시대 건축 양식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민가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유산들을 배치해 관광지로 공개했습니다.
가옥으로는 이원모 ㅁ자 기와집, 박명실 초가겹집, 이춘백 초가겹집,
박분섭 초가까치구멍집, 이필구 초가토담집(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4호)을 비롯해
초가도토마리집(경상북도 민속자료 제6호)·돌담집·통나무집 등이 있습니다.
민속촌을 지나 우축 산 기슭의 산책로를 가다보면
낙동강의 진상품인 은어를 보관하기 위해 조선 영조대에 만든 안동석빙고(보물 제305호),
조선 숙종대의 건물인 선성현객사(宣城縣客舍: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月映臺'란 해서체 글씨가 새겨진 직사각형의 바위인
월영대(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호) 등을 비롯해
연자방아·물레방아 등이 보존되어 있습니다.
이곳 민속촌의 입구에는 장승과 이 지방 출신의 충절 시인인
이육사의 시비가 세워져 있다.
안동 의촌동 초가도토마리집
남반 고택 (안동시 문화유산 제79호)
남반 고택의 대문
남반 고택을 담 넘어로 담아본 풍경
육중한 물레방아가 지금도 힘차게 돌아갑니다.
윗 부분의 언덕으로 올라가면 헛 제사밥을 파는 곳이 있다고 하는데
무리한 일정과 더위 때문에 올라가보지 못했습니다.
윗 쪽까지 가실분들은 차량으로도 가실수 있습니다.
이원모 와가
이원모 와가(안동시 문화유산 제80호)
이천서씨 열녀비 (안동시 문화유산 재87호)
육사시비
기와 가마터
연자방아
안동 민속촌입구에서 월령교로 가는 길의 풍경입니다.
안동 민속촌 가는 길
1. 월령교 주차장에서 월령교를 지나 도보로 가는 길
2. 월령교 주차장을 지나 자동차로 가는 길
'국내·여행 > 부산 · 경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신세동 벽화마을/작은 골목길의 정겨움을 느낄 수 있는 풍경 (0) | 2013.08.19 |
---|---|
안동세계탈문화전시관/안동국제탈춤페스티발/안동실내체육관 (0) | 2013.08.19 |
임금님 진상용 은어 보관을 위한 안동 석빙고/선성현 객사 (0) | 2013.08.19 |
안동댐 월령교의 여름날의 풍경/ 안동 가볼만 한곳 (0) | 2013.08.19 |
금정산 둥지산장/광안리해수욕장/동백섬 (0) | 2008.11.23 |